예전에 후니가 시장직을 던지는 바람에 임교수님이 학계로 다시 돌아 오는 일이 있었다. 그덕에 교수님과 수업에서 첨예하게 논쟁했던 주제가 있었다. 거의 한기 내내 토론을 했던 기억이 난다. 큰 줄기는 공공 서비스와 같은 노동 집약적인 업무에서 비용을 늘리지 않고 경영을 혁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였다. 

 그때 나는 그건 그런건 정치적으로 시민들을 현혹하는 수사에 불과하며 겉보기에 경영 혁신을 가져왔다는 것 이면에는 노동자들의 보이지 않는 잠재적인 비용을 수반하는 거라고 했었다. 고품질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면 그만큼 자본과 노동의 투입을 늘려야 하며 공공서비스라도 그에 합당하는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시민들이 더 낳은 서비스를 받게된다면 그 비용 부담은 응당 시민들에게 지워야 한다고 했다. 

 거기에 대한 교수님의 반론은 공공서비스는 그 특수성 때문에 가격을 높이 받을 수가 없다는 점을 들었던 걸로 기억한다. 저소득층까지 포함하는 가급적 사람들이 공공서비스를 누려야 한다며 가격을 마냥 올린다면 배제되는 소외되는 사람들이 생긴다고 했다. 그것이 보이지 않는 정치적인 비용이라고 했다. 

 사실 흔히 후니가 무상 급식 논란으로 저소득층에 무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상 그건 왜곡된 이야기다. 오히려 공공서비스 종사자들 업무 강도를 높여서라도 보다 가난한 시민까지 질좋은 해택을 보자는 주의이다. 

 아마도 당시 대립하던 정당이 생산성을 늘리지 않은 채로 노동자들의 소득을 더 올려서 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생각하는 주의여서 후니를 나쁜놈으로 만들려고 한건가 싶다.

 여튼 지금도 그때랑 크게 생각이 변한건 없는듯 싶다.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만큼 노동과 자본을 투입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비용을 늘리지 않고 고품질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런 수는 없다고 본다. 다만 경영 혁신이라는 게 있다면 그건 기술에 잘 맞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것 정도라고 생각한다. 

 가령 처음 모터가 도입되었을때 증기기관의 시스템에 그대로 동력만 모터만 바꿔 꼈을때 생산성이 오히려 하락을 했었다. 나중에 물과 석탄이송에 따른 비용에 최적화 되어있던 공장의 입지를 바꾸는 경제 지리적인 면과 모터체계에 맞는 직원 관리 방식이 도입이 된 다음에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온 사례가 있다. 그런 거라면 충분히 생산성을 올릴수 있다.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게임 개발도 노동 집약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모니터를 두개쓰거나 액정타블릿 같이 자본의 투입을 늘려 생산성을 올릴수도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사람을 갈아 넣는거다. 비용을 줄인다고 하면 그 모터 도입으로 공장입지를 바꾸는 거 가령 재택근무를 통해서 경기도 외곽으로 나가서 비용을 줄인다거나 이런 식으로 기술 발전에 종속된 경영 시스템을 구축해서 효율성을 증대 시키는 거지 기술 혁신을 동반하지 않는 경영 혁신을 없다고 본다.

 더 작업에 갈아 넣도록 정신적으로 세뇌 시키는 거가 아니라면 말이다. 물론 교수님이라면 그런 수단을 많이 가지고 있을꺼다. 그러니 대한민국에 심장을 맏아서 경영했던거겠지.

 아 그건 그거고 요세 프로그래밍은 더 이상 못해먹겠다. 기능 구현은 아이템 렌덤 등장과 턴에 따른 맵빈도와 레벨업 선택지와 체력상승에 따른 표기제한 그리고 음악 재생까지만 하자. 이게 테스트를 통한 레벨 디자인 벨런스 조정을 해야 한다. 

 역시나 버그가 터졌다. 

 일단 서리자이저블인가 먼가 부터 해서 인스펙터 창에 뜨는 옵션 부터 만들도록 하자. 

 기존에 있던 코드는 삭제하자. 

 최적화 측면에서는 경악할 방법 같지만 인디 게임 수준에선 그런거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한 두세시간 자고 나니까 개운하다. 일단 여기까지는 아주 잘 구현이 된듯 싶다. 또 이거 잘 구현이 되면 힘이 나서 지겨웠던 마음이 좀 녹는듯 싶다. 

 여기 실재 뜨는게 아니라 올라가는게 예전에 할당된 거가 올라간다. 그거 정도 수정하면 일단 해야 할꺼는 마무리 될듯 싶다. 

 아 머가 문제인지 알꺼 같다. 

 요렇게 바꾸어야 한다. 

 플러스 딜업이라고 되어 있었는데 정작 베이스 딜이 올랐다. 머가 문제일까. 

 아 여기가 잘못되었었다. 아 그리고 플러스 딜이 처음부터 4인거는 너무 많은듯 싶다. 2로 바꾸자. 

 베이

스 무기랑 기본값이랑 중복으로 들어가게 해두어서 그랬었나 보다. 

 나머진 머 쉽지 않을까 싶다. 

 기본체력 7에다가 확률상 어렵겠지만 매번 체력만 1을 찍으면 9랩까지 15인데 칸이 감당을 할수 있을지 모르겠다. 일단 얼마까지 체력을 늘릴수가 있는지 부터 확인하고 9랩이 만랩이 아니라 그보다 좀 낮게 조절을 해야 할듯 싶다. 

 되는거 같다. 6랩까지 줄일까 했는데 말이다. 흐음. 그냥 레벨업에 필요한 경험치를 늘리는 식으로 가야 할듯 싶다. 일단 그건 벨런스 테스트를 하면서 천천히 하도록 하자. 

 좀 쉬었다가 아이템 랜덤등장이랑 턴제 따른 맵빈도 만드는거 작업하고 자면 될듯 싶다. 

 

'턴제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가 IT 강국이 된 까닭은  (0) 2022.01.07
나를 갈아 넣는 수밖에  (0) 2022.01.06
연봉 자랑은  (0) 2022.01.04
크루세이더 킹즈2 모드  (0) 2022.01.02
경영 시뮬 요소를  (0) 2021.12.30

WRITTEN BY
아이고이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