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ore.steampowered.com/app/2114090/Goetita_Turnbased_City/
3D 강의를 듣다가 색채 이론이 나와서 기록을 해 둬야 겠다.
기초
주요색 3개를 정하면 2개씩 섞은 색이 보조 색이 된다.
대기의 색이나 물의 색이 반영되서 그림자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그림자는 채도와 명도가 동시에 변한다.
검정색의 반대 색상은 흰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다. 전봇대가 그 예다. 따라서 흰색을 사용하지 않고 옅은 노란색을 사용한다. 참고로 유니티도 기본 라이팅이 옅은 노란색으로 되어 있다.
형광등의 경우에는 푸른색과 초록색의 비중이 높다. 실제론 민감한 사람만 느낄수 있지만 그래픽에서는 이 두 색을 강조 한다. 푸른 검정을 쓴다. 푸른색과 노란색을 섞으면 자연스래 초록색이 되니 형광등은 푸른색이라고 외우면 편하다.
백열등의 경우에는 푸른색이 적고 초록색에서 노란색 붉은 색으로 갈수록 비중이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민감한 사람만 느낄수 있지만 그래픽에서는 강조한다. 붉은 검정을 쓴다. 백열등은 주황색이라고 외우면 편하다.
색조합편
2가지 색조합
보색을 쓰는 경우에 반반을 섞어 쓰지 말아하고 한다. 대략 8 : 2 배율이 좋다고 한다. 소수 비율에 들어가는 쪽이 명도가 더 강하고 다수 비율에 들어가는 것이 명도가 더 약하다.
3가지 색 조합
Y 조합
근접색 조합
정삼각형 조합
4가지 색 조합
직사각형
한색과 난색
예제
일단 뼈대 정도 잡은듯 싶다. 구체적인건 찾아 가며 배워야 겠다.
'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턴제 게임을 만들기 위한 UI 사례 분석 (0) | 2018.11.17 |
---|---|
인공지능 채색 프로그램 (0) | 2018.06.25 |
오픈 아트 (0) | 2018.01.13 |
Epistory (0) | 2017.11.08 |
블렌더 2D 애니메이션 : coa tools addon (0) | 2017.10.21 |
WRITTEN BY